분류 전체보기 119

1-4 관계

1. 관계 -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으로서 존재의 형태로서나 행위로서 서로에게 연관성이 부여된 상태(데이터 모델 관점) 인스턴스가 개별적으로 관계를 가지는 것(페어링) 이것의 집합을 관게로 표현 관계는 이항 관계, 삼항 관계, n항 관계가 존재할 수 있지만 삼항 관계 이상은 잘 나타나지 않음. 연관관계는 실선(->)으로 표현, 의존관계는 점선(-->)으로 표현 관계차수 - 두 개의 엔터티간 관계에서 참여자의 수를 표현하는 것(1:1, 1:M, N:M) 관계선택사양 - 필수관계 - 선택관계

1-3 속성

1. 속성 -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 의미상 더 이상 분리 x 엔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와 속성 존재 속성 종류 - 기본 속성 - 설계 속성 - 파생 속성 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 PK 속성 - FK 속성 - 일반속성 복합 속성 - 시,구,동,번지 등과 같이 여러 세부 속성들로 구성 단일 속성 - 나이, 성별 등 더 이상 다른 속성들로 구성될 수 없는 단순한 속성 도메인 -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데이터 타입과 크기 그리고 제약사항을 지정 속성의 명명 - 해당 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 부여 - 서술식 속성명 사용 x(명사형 이용, 수식어 많이 붙지 않게) - 약어 사용 가급적 제한 - 전체 데이터모델에서 유일성 ..

1-2 엔터티

1. 엔터티의 개념 -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Thing) - 대상들 간에 동질성을 지닌 인스턴스들이나 그들이 행하는 행위의 집합 - 대부분 사각형으로 표현 2. 엔터티-인스턴스 과목 - 수학 - 영어 3. 엔터티 특징 -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 가능 -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한 개가 아니라 두 개 이상) - 반드시 속성 존재 -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 존재 4. 엔터티의 종류 - 기본엔터티: 독립적으로 생성. 타 엔터티 부모 역할. - 중심엔터티: 기본엔터티로부터 발생. 업무에 중심적인 역할. - 행위엔터티: 두 개 이상의 부모엔터티로부터 발생. 자주 내용 바뀌고 데이터량 증가.

1-1.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모델링의 이해 모델 - 모형, 축소형의 의미로서 사람이 살아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에 대해서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해 놓은 모형 모델링 - 사람이 살아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은 사람, 사물, 개념 등에 의해 발생되며 이것을 표기법에 의해 규칙을 가지고 표기하는 것 자체를 의미. 즉, 모델을 만들어가는 일 자체를 모델링으로 정의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다양한 현상을 일정한 양식인 표기법에 의해 표현) - 단순화: 복잡한 현실세계를 약속된 규약에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쉽게 이해할 수 있게) - 명확화: 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해 대상의 애매모호함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 데이터 관점: 업무와 ..

2. 식별자 관계와 비식별자 관계 설정

식별자 - 부모 테이블 PK가 자식 테이블 FK이자 기본키로 사용 비식별자 - 부모테이블 PK가 자식 테이블 일반 컬럼이나 외래키 컬럼에 저장 식별자 관계만을 이용해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 시, PK 속성의 숫자가 증가 비식별자 관계만을 이용해 데이터 모델링 전개 시, 테이블 간의 과다한 조인을 유발하여 조인에 의한 성능 저하 데이터 모델링 수행에서 식별자/비식별자 관계의 구분 설정은 데이터 모델링 초기 단계인 분석 단계에서부터 이미 고려된다고 봐도 된다. 관계 설정에 따라 자식의 PK 구성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업무적 특징에 따라 논리적인 관계가 엔티티 사이 형성 비식별자관계 선정 기준(관계분석 -> 관계의 강/약 분석 -> 자식테이블 독립 PK 필요 -> SQL 복잡도 증가 개발생산성 저하) 식별자관계..

1. PK 컬럼 순서, 대충하지 말자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분석 - 설계 - 구축 - 테스트 - 이행 이 때 데이터 모델링 툴을 이용해 모델을 만들고 DDL을 생성하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PK 컬럼의 순서는 그다지 신경쓰지 않고 생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 인덱스 구성에서 의도하지 않은 순서의 Primary Key Unique Index가 생성(데이터 무결성이 깨질 수 있다) 2. 그에 따라 조회 SQL 실행 시 성능 저하 현상 발생 3. 많은 인덱스가 생성되므로 입력/수정/삭제 시 불필요한 내부 작업이 증가해 성능에 악영향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테이블 생성 전에 SQL Where 절을 분석하여 엔티티타입의 PK 컬럼 순서를 조정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설계 ..

백엔드 개발자 자바, 스프링 질문 완전정복

중점 - 얼마나 진정성을 가지고 개발자를 준비해왔는가, 본인 스스로 노력한 게 있는가? (토이 프로젝트, 블로그 정리 등) - 프로젝트 끝나고도 계속해서 프로젝트를 개선하고 출시 - 단순히 개념 뿐만 아니라 작동 방식이나 구현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두자 1. 다른 언어/프레임워크(GraphQL -> REST API와 다른 점, Node.js -> Spring Boot와 차이점) REST API 장점 - HTTP 캐싱 잘 사용 가능, 파일 전송 등 단순한 텍스트로 처리되지 않는 요청들이 있을 때, 요청의 구조가 정해져 있을 때 GraphQL 장점 - 다양한 요청들에 대해 응답할 수 있어야 할 때(엔드포인트 하나), 오버페칭(요구사항보다 많은 데이터 반환하는 경우) 해결 단점 - 고정된 요청과 응답만 필요한 ..

Java/공부 2022.09.12

자바 공부

[1] 코드스테이츠 커리큘럼 참조 1. OOP 기초(Java 언어의 클래스와 객체 이해 및 OOP 적용) 2. OOP 심화(객체지향의 원리와 설계 및 구현) 3. Collection 프레임워크(List, Set, Queue, Map) - List: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중복 허용. import java.util.ArrayList;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ArrayList marks = new ArrayList(); marks.add(50); marks.add(60); marks.add(40); marks.add(70); System.out.println(marks); } } - Set: 순서가 없는 데이터의 집합, 중복 허..

Java/공부 2022.09.12

[디자인 패턴] 팩토리 메소드 패턴

팩토리 메소드 패턴 - '객체'와 '객체 생성 클래스'를 따로 분리하는 디자인 패턴 -> 객체 생성 클래스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서, 객체 생성 변화에 유연하게 대비 예제) 1. 상품을 만드는 상품 생성자를 생성 2. 상품을 상속받아서 여러 개의 세부 상품(물, 휴지, 물티슈 등)을 구현한다. 1) 상품 생성자 public abstract class ProductCreator{ public Product create() { // 템플릿 메소드 패턴 이용 final Map productInfo = getProductInfo(); // 1. DB에서 상품 정보를 가져온다. final Product product = createProduct(productInfo); // 2. 상품을 생성 return produ..

Java/공부 2022.06.16

SpringBoot 구조 정리

스프링부트를 공부하면서 스프링부트 프레임워크의 각각 패키지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리하는 글입니다. 프로젝트 구조 - domain - repository - dto - service - controller Domain - db의 테이블과 직접적으로 매핑되는 클래스 - jpa 사용 시 여러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테이블, 필드, 필드 옵션 등을 설정 - 자주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 @Entity: 테이블과 1:1로 매핑되는 어노테이션. 해당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jpa가 해당 클래스를 관리 - @Column: 필드에 붙이는 어노테이션. 해당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컬럼으로 인식 - @Id - pk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 - @GeneratedValue - pk가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하는 어노테이션 -..

Java/공부 2022.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