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k의 공부 일지

  • 홈
  • 태그
  • 방명록

CS/자료구조 1

스택과 큐의 차이점

스택 -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구조로 가장 나중에 쌓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빼낼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 정책) 방식을 따른다. push(): 데이터를 스택에 넣기 pop(): 데이터를 스택에서 꺼내기 장점 - 구조가 단순해서 구현이 쉽다. - 데이터 저장/읽기 속도가 빠르다. 단점 - 데이터 최대 개수를 미리 정해놔야 한다. ->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 미리 최대 개수만큼 저장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코드로 구현(파이썬) stack_list = [] def push(data): stack_list.append(data) def pop(): data = st..

CS/자료구조 2021.01.24
이전
1
다음
프로필사진

  • 분류 전체보기 (119)
    • Spring (0)
    • Java (14)
      •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0)
      • 공부 (4)
    • 데이터베이스 (16)
      • 아는 만큼 보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3)
      • SQLD (13)
    • CS (14)
      • 데이터베이스 (10)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1)
      • 공부 (2)
    • Javascript (66)
      • Graphql (3)
      • 웹 개발 (14)
      • 자바스크립트 코딩의 기술 (9)
      • HTML5 (9)
      • CSS3 (2)
      • Node.js (26)
      • React (3)
    • Python (5)
      • 파이썬 문법 (5)
    • WatchOS (4)

Tag

Objection.js, 스프링부트, 비동기, 데이터베이스, CommonJS, 엔드포인트, 가상릴레이션, sequelize, rest api, 트랜잭션, nvm, 정규화, Non-blocking I/O,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모델 #관계 대수, 자바스크립트, node.js, E-R모델, B+ Tree, 정규형, zsh,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2025. 05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