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스프링 기초

Frankie 2021. 5. 29. 23:56

Spring : Java 언어를 바탕으로 서버를 담당, 요청에 따라서 눈에 보이는 것들 or 데이터를 제공해준다.

 

- 자바의 클래스 중 private 정보 가져오려면 -> getter 사용

 

- 데이터로 응답하려면 RestController 사용

 

- Rest : 서버의 응답이 JSON 형식임을 나타냄

 

-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 받는 예

 

- RestController : JSON만을 돌려주는 것

 

- Controller 클래스를 만들고 위의 역할을 하는 것을 Spring에게 알려주기 위해 @RestController라고 어노테이션(주석)해준다.

 

- @GetMapping('주소') : 해당 주소일 경우 GET 메소드가 실행된다고 보면 된다.

 

- Gradle : 다른 사람들이 만든 도구들을 다운로드 받고 적용하는 과정을 편하게 만들어주고 빌드를 도와준다.

 

- Bean : 간단하게 말하면 자바 객체이다.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서 자바 객체가 만들어지게 되면 이 객체를 스프링은 스프링 빈이라고 부른다. 스프링 빈과 자바 일반 객체와의 차이점은 없다. 다만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만들어지는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부를뿐이다.

 

- 롬복(Lombok) : 자바 개발자들의 필수 라이브러리. 자바 개발할 때 자주 사용하는 코드 Getter, Setter, 기본생성자, toString 등을 어노테이션으로 자동 생성해준다.

'Java >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의 스코프  (0) 2021.06.12
머스테치  (0) 2021.06.07
API  (0) 2021.06.01
JPA  (0) 2021.05.31
테스트 코드  (0) 2021.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