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버전관리시스템
git vs git hub
git은 소스 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툴이고 git hub은 클라우드 서비스 git으로 관리하고 있는 코드들은 git hub에 올린 다음에 git hub에서 많은 사람들과 공유도 하고 수정도 할 수 있게 해준다.
git init - git 저장소 생성
git status - git 상태 확인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Git repository(local) Git repository(remote)
-> -> ->
git add git commit git push
.gitignore 하면 저장소에서 입력한 폴더는 없어지게 되는데 git add 하기 전에 해야 한다.
안전하게 git hub에 통신하려면 SSH(Secure Shell)을 설정하자
0. git ssh 설정 확인
ls -a ~/.ssh
설정 안되어 있으면
1. git ssh 구글에서 검색
2. 새로운 SSH Key 생성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
3. SSH Agent를 Background에서 킨다.
eval $(ssh-agent -s)
4. SSH Private Key를 SSH-Agent에 넣는다.
ssh-add ~/.ssh/id_rsa // id_rsa : private key , id_rsa.pub : public key인데 private key를 ssh-agent에 add시켜준다.
5. SSH Public Key를 깃헙에 넣어준다.
clip < ~/.ssh/id_rsa.pub //클립보드에 ssh public key가 복사
github 홈페이지 -> settings에 가서 ssh key 클립보드 복사한 key 입력해서 연결하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git hub에 내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을 올릴 수 있다.
'Javascript > 웹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서버 사이드 렌더링 (0) | 2021.07.20 |
---|---|
동기/비동기 (0) | 2021.07.20 |
타입스크립트 (0) | 2021.07.20 |
CORS (0) | 2021.04.17 |
REST API (0) | 2021.04.16 |